
월세를 내는 데 있어서 그 금액은 꽤나 부담이 될 겁니다. 이 글을 읽고 나시면 여러분은 1년간 낸 월세의 15~ 17%를 돌려 받으실수 있습니다.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을 놓치셨어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5년이 지나면 국고로 환수되니 늦기 전에 서두르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월세환급금 신청 바로가기 월세환급(월세 세액공제) 제도란? 주거를 위해 매달 월세를 지출하셨다면 연말정산 시에 세액공제를 통해 납입 한 금액의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존보다 5% 상향되어 이제는 월세액의 15~17% 까지 세액공제율이 올라갔습니다. 이 환급금은 임대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도 5년까지 소급 적용이 가능합니다. 환급대상 및 환급액 월세금액에 대한 환급금이기 때문에 당연히 월세..

모든 부모들에게 육아는 쉽지 않겠지만, 특히 직장인 부부들에게 육아는 더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육아휴직제도를 만들어 직장인 부부들의 육아를 돕고 있는데요. 육아휴직제도는 어떻게 신청하며 금액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모르면 손해! 신청 안 해도 손해! 육아휴직급여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일반 근로자가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30일 이상의 육아휴직을 부여받고 소정의 수급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육아휴직기간에 대하여 일정 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0.2.28일부터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이와 함께 하는 기간! 육아휴직 기간은 몇일? 육아휴직의 기간은 1년 이내이며, 자녀 1명당 1년 사용가능합니다. 즉, 자녀가 2명이면 각각 1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 혜택을 받는 건강보험. 하지만,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의료비는 상당히 부담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고자 지원되는 사업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 지원사업이며 받을 수 있는 대상과 신청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이란? 건강보험이 보장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3년에 재난적 의료비 지원이 확대되었다고 하니 그 내용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소득 대비 본인부담의료비 비율15% 에서 10%로 완화되었으며, 과세표준액 5억 4천만 원 에서 7억 원 이하로 완하 되었습니다. 대상질환이 입원(모든 질환) 외래(중증질환)에서 모든 질환(동일질환별 입원, 외래구분 ..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다들 고민을 안 할 수 없는 게 자녀양육비입니다.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자녀 장려금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짜 우리 모두 세금도 많이 내는데 받을건 다 받아갑시다. 자녀장려금이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에 조금이라도 지원을 하고자 만든 국세정책중 하나입니다. 일도 열심 육아도 열심인 직장인 부모들을 위한 지원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신청조건 및 지급가능 금액 자녀장려금 신청조건은 가구의 총 소득이 기준이며, 나머지 기준은 근로 장려금이 조건과 동일합니다. 부부의 1년 총 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종교인 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등)이 4000만원 미만. 18세 미만의 부양자녀가 있어야 합니다. 이 조건이 충족 될시 자..